길게 쓰면 지루하니 아주 간단하게만 설명.
숫자형
숫자형의 종류에는 정수형과 실수형이 있다. (더 있지만 여기서는 생략)
정수형 (Integer)
=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
실수형 (Floating-point)
= 소수점이 포함된 실수를 표현하는 자료형
+type() 함수를 사용하면 자료의 형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다.
숫자형 연산
기본 사칙연산 (+,-,*,/) 와 (**,%,//)이 있다
헷갈리는 연산
% 연산자는 나눗셈의 나머지 값을 돌려준다.
// 연산자는 나눗셈의 몫 값을 돌려준다.
/, // 차이는 뭘까?
/는 결과가 실수형으로 출력
//는 결과가 정수형으로 출력
실습
num1 = 6
num2 = 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print(num1 // num2)
문제 |
5000시간은 일수로 며칠인지 계산해보세요. |
풀이 후 출력값을 보여주세요.
문자형
문자, 단어, 문장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하고, 양쪽에 큰따옴표(“) 또는 작은따옴표(‘)를 씌워서 만든다.
문자열 연산
+ 기호로 문자열을 연결할 수 있다.
* 기호로 문자열을 반복할 수 있다.
len() 함수로 문자열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문자열 인덱싱
문자열[번호] 의 형태로 사용하며,
문자열을 문자 단위로 가져오는 것
+ Python의 모든 인덱싱은 0 부터 시작하며, -1부터 뒤에서부터 나타낼 수 있다.
실습
str = "My name is (본인이름)."
print(str[0])
print(str[-1])
str_indexing = str[0] + str[-1]
print(str_indexing)
문자열 슬라이싱
문자열[범위1:범위2] 의 형태로 사용하며,
문자열에서 범위1 부터 범위2 이전까지의 문자들을 가져오는 것
+ 범위1 또는 범위2를 생략할 수 있다.
범위1을 생략하면 처음부터,
범위2를 생략하면 끝까지이다.
실습
str = "My name is (본인이름)."
print("str[0:5]:", str[0:5])
print("str[:7]:", str[:7])
print("str[5:]:", str[5:])
print("str[-1:]:", str[-1:])
문자열 포맷팅 (Formatting)
.format() 함수를 이용하면 문자열 포맷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바로 넣을 수 있다. 문자열 안에 {} 를 넣고 순서를 써주면 된다.
실습
str = "오늘은 {0}월 {1}일 입니다".format(11,06)
print(str)
문자열 관련 함수들
count() : 문자 개수 세기
find() : 문자 위치 알려줌. 없으면 -1 반환
index(): 문자 위치 알려줌. find와 같지만 없으면 error 발생.
join() : 문자열 삽입.
upper() : 문자열 모두 대문자로 변환
lower() : 문자열 모두 소문자로 변환.
replace() :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치환.
split() : 문자열을 나누어서 리스트로 반환.
문제 |
a = 11 b = 9 print(‘a’+’b’)의 결과는? |
풀이 후 출력값을 보여주세요. (왜 저 값이 나왔을까?)
리스트
숫자나 문자열을 담아 넣는 컨테이너이다.
변수 = [값, 값, 값, …] 의 형태
리스트도 문자열처럼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통해 표현가능하다.
값의 수정과 삭제가 자유롭다.
실습
a = [1,2,3]
b = [4,5,6]
print(a+b)
print(a*3)
print(len(a))
리스트 함수
append() : 리스트의 맨 뒤에 값을 추가
sort() : 리스트의 요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reverse() : 리스트를 역순으로 뒤집어 준다.
index(x) : 리스트 내에 x 값이 있다면 가장 첫번째 x 값의 위치를 반환한다. 없다면 error가 출력된다.
insert(x, y) : 리스트의 x 위치에 y값을 삽입한다.
remove(x) : 리스트에서 처음으로 나오는 x값을 삭제한다.
pop(x) : 리스트의 x 위치의 값을 반환하고, 리스트에서 그 값을 삭제한다. x를 넣지 않으면 맨 뒤에 값이 반환되고, 삭제된다.
count(x) : 리스트 안에 있는 x의 개수를 반환한다.
extend(x) : 원래의 리스트에 리스트 x를 더하는 것이다. x에는 리스트만 올 수 있다. 리스트 간의 (+)연산과 동일하다.
문제 |
list에 무작위로 값을 넣고, 정렬해서 출력 |
튜플
리스트와 비슷하나 리스트와 달리 내부 값의 생성, 삭제, 수정이 불가능하다.
딕셔너리
리스트나 튜플처럼 index를 가진 순차적인 값들이 아닌 Key와 Value의 쌍 형태로 값들을 갖는다.
변수 = { key : value } 의 형태
.get(key) : key에 대응되는 value를 가져온다.
실습
dict = {"name" : "Kim", "phone" : phoneNum, "age" : 25}
print('dict.get("name")
print('dict.get("age")
집합 (set)
set()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자료형으로 문자열, 리스트, 튜플 등을 넣어서 만들 수 있다.
볼 (bool)
참(True)과 거짓(False)를 나타내는 자료형
추가
입력 (input)
사용자로 부터 입력을 받을 수 있다.
'Python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킹 커리큘럼 정하기 (3) | 2023.11.22 |
---|---|
파이썬 활용 - RPG 게임 만들기 (0) | 2023.11.20 |
파이썬 활용 - 간단한 대화 (2) | 2023.11.20 |
파이썬 기초 -제어문2 (0) | 2023.11.13 |
파이썬 기초 - 제어문1 (0) | 2023.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