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

데이터 정규화란? (제3 정규화)

데이터 정규화란? (제2 정규화) 데이터 정규화란? (제1 정규화) 주니어 개발자들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한다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데이터 정규화' 이 녀석은 대체 무엇일까?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moonriver252.tistory.com 이어집니다! (정규화 시리즈 마지막입니다) 제3 정규화 제3 정규화란 제 2정규화를 만족한 테이블에 대해 이행적 함수 종속이 없도록 테이블을 분해 하는 방식이다. 이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테이블에서 일반 컬럼에만 종속된 컬럼을 다른 테이블로 빼는 것을 제3 정규화라고 한다! 이행정 함수 종속이란? X -> Y, Y -> Z가 성립할 때 X -> Z가 성립되는 것을 의미한다. ex)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제2 정규화를 마친 [과목] 테이블이 ..

데이터 정규화란? (제2 정규화)

데이터 정규화란? (제1 정규화) 주니어 개발자들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한다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데이터 정규화' 이 녀석은 대체 무엇일까?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하 moonriver252.tistory.com 이어집니다! 우선 제2 정규화 설명에 앞서 Primary Key(기본키)와 Composite key(복합키)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Primary Key(PK, 기본키)란 행을 구분하기 위해 유니크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컬럼을 말한다 (최소의 정보로 행을 고유하게 구분해 주는 컬럼) Composite Key(CK, 복합키)란 Primary Key가 없을 경우 2개 이상의 컬럼을 합쳐서 key로 지정해주는 것이다. 제2 정규화 제2 정규화란..

데이터 정규화란? (제1 정규화)

주니어 개발자들중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 한다면 한번 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데이터 정규화' 이 녀석은 대체 무엇일까? 데이터베이스의 설계에서 중복을 최소화하여 데이터를 구조화하는 것을 정규화(Normalization)라고한다. 또한 테이블을 어떻게 분해되는지에 따라 정규화 단계가 달라진다. 제1 정규화 제1 정규화란 테이블의 컬럼이 원자값을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방식이다. 이를 간단하게 말하자면 한 칸에는 하나의 데이터만 넣는 것을 제1 정규화라고 한다! ex)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학생들의 수강 현황 테이블이 있다. id (Primary Key) 이름 수강과목 1 가가 PostgreSQL 2 나나 MongoDB, MySQL 3 다다 MySQL 이 경우 여러 개의 값이 한 열(Column) ..

Couldn’t upload file 오류 (Postman)

Postman에서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테스트를 하려고할 때 Couldn’t upload file 이런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었다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했는데 Location 토글 버튼을 on으로 하고, 폴더명을 변경 해주는 것이다! 1) 우측 상단의 셋팅을 클릭한다. 2) 아래쪽 Location → Allow reading files outside working directory 토글 버튼은 ON으로 바꾼다. 3) 아까 setting에서 확인한 디렉토리 경로를 찾아가보면 폴더명이 Postman Agent라고 되어있다 이걸 Postman으로 바꿔준다. 4) 이후 이미지 업로드를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이러면 정상적으로 작동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끝!

오류 2023.04.13

TypeError: this.client.send is not a function 오류 (AWS-S3)

AWS-S3를 사용할 때 TypeError: this.client.send is not a function 이런 오류가 뜨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multer-s3 와 aws-sdk 의 버전이 맞지 않아 난 오류였다! ex) "multer-s3": "^3.0.1", "aws-sdk": "^2.1148.0", 해결 방법은 아주 간단 했는데 multer-s3 를 aws-sdk 와 같은 버전으로 맞춰주는 것이다! ex) "multer-s3": "^3.0.1", => "multer-s3": "^2.10.0" 이러면 정상적으로 작동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끝!

오류 2023.04.13